-
티스토리 블로그를 노출 시켜보자 - : 구글, 네이버에 검색결과 안 나온다면?블로그 도전기 2024. 5. 11. 20:50
지금은 해결이 되었지만,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, 구글 아날리틱스, 구글 서치 콘솔 연동 작업을 다했는데 구글, 네이버 검색이 안되어서 답답해하고 있었다.
# 구글, 네이버에 검색이 안 된다.
다음은 잘 만뜨고,
구글은 어떤 검색어를 넣어도, 아무리 기다려도 페이지 하나만 추가되어 있고,
네이버는 아예 뜨지 않았다.아무리 기다려도 뜨지 않았다.(2일 정도?)
그래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해결했다.
1. site:[티스토리 URL]로 확인하기 2.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서 페이지 등록 3. 구글 서치 콘솔에서 페이지 등록
# site: [티스토리 URL]로 확인하기
site: 검색 연산자
site: 연산자에 지정된 특정 도메인, URL, URL 접두사에서 검색결과를 요청할 수 있는 검색 연산자입니다.
site:[티스토리 블로그 URL]
예를 들어 내 블로그같은 경우
site:https://thewys.tistory.com를
구글, 네이버 검색창에 입력하면 현재 내 홈페이지가 잘 나오는지 확인 할 수 있다.
혹시 자신의 글이 뜬다면 등록엔 이상이 없고, 그냥 검색 우선 순위에서 밀리는 것일 테니
검색 조건을 최신순으로 바꾸고 자기 글이 나올때까지 스크롤 해보자.
혹시 위와같이 안 뜬다면, 아직 네이버랑 구글은 우리 블로그를 인식하지 못한 것이다.
우리 블로그를 알게 해주자!
#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서 페이지 등록
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로 이동 -> 로그인 -> 우상단 웹마스터 도구 클릭 -> 자신의 블로그 클릭
여기서 왼쪽에 카테고리에 많은 항목들이 있는데, 우리가 신경써야 할 것은 아래와 같다
- 사이트맵 제출 - Rss 제출 - 웹 페이지 수집
## 사이트맵 제출하기
사이트맵: 사이트에 있는 페이지, 동영상 및 기타 파일과 각 관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파일입니다. Google과 같은 검색엔진은 이 파일을 읽고 사이트를 더 효율적으로 크롤링합니다.
** 쉽게 말해서 이거 있으면 크롤링 더 빨라져요!
요청 / 사이트맵 제출 메뉴 클릭
위 스크린샷과 같은 화면이 뜨고, sitemap의 URL은 보통
[티스토리 블로그 URL]/sitemap
이런 URL형태이다. (튜이의 블로그 같은 경우 https://thewys.tistory.com/sitemap)
URL을 입력하고 확인버튼을 누르면 사이트맵 제출은 완료, 네이버의 응답을 기다려야한다.## RSS 제출하기
Rss(Rich Site Summary)가 뭔지는 구글링하면 잘나온다. 나는 그게 중요치 않으니 패스.
** sitemap과 마찬가지로 효율적으로 사이트의 업데이트를 반영해주는 파일 포멧이다.홈페이지 컨텐츠가 업데이트 되고, 그것이 반영되려면 크롤링봇이 홈페이지에 들어와서 정보를 가져가야하는데,
그럴 필요없이 RSS피드만 봐서 필요한 업데이트만 가져갈 수 있도록 해주는 데이터 포멧과 방식으로 보인다.요청 / RSS 제출 메뉴 클릭
위와 같은 화면이 뜰것이고 티스토리의 RSS URL을 입력하라고 나온다.
RSS URL은 사이트맵과 비슷하게
[티스토리 블로그 URL]/rss
이런 URL형태이다. (튜이의 블로그 같은 경우 https://thewys.tistory.com/rss)
URL을 입력하고 확인버튼을 누르면 RSS 제출은 완료, 이것도 네이버의 응답을 기다려야한다.## 웹페이지 수집 요청하기
가장 중요한 웹페이지 수집 요청
위 두가지를 등록하면 네이버 크롤링봇이 주기적으로 우리 블로그 홈페이지를 방문해 홈페이지를 노출 시킬 수 있도록 검색엔진의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지만네이버의 수집 주기, 재수집 여부 등은 네이버 알고리즘에 의해 동작하므로 당장 안될 것이다.
수동으로 네이버에게 우리 홈페이지 여기에 있다고 알리는 방법이 수집 요청하기이다.
요청 / 웹 페이지 수집 클릭
위와 같은 화면이 뜰 것이고 본인이 등록하고 싶은 글의 전체 URL을 넣어주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된다.
Sitemap과 RSS와는 다르게, 만약 글 10개를 빨리 뜨게 하고싶다. 하면 10번의 URL복사와 클릭을 하는 형식.위 세가지 작업을 하고 시간이 조금 지나면 아까 # site: [티스토리 URL]로 확인하기 를 해볼시에 네이버에 뜨는걸 확인할 수 있다.
# 구글 서치 콘솔에서 페이지 등록
두번째, 티스토리 유저들에게는 더 중요할 수 있는 구글에 등록이다.
우선 구글 서치 콘솔로 이동 -> 로그인하면 어떤 화면이 보이는가?나는 이런 화면이 떴었다. 그리고 며칠 후 기다리란 말대로 2일을 기다렸었으나,
그때까지 너무 길다고 판단해서 네이버와 마찬가지로 sitemap 등록, RSS 등록, 페이지 색인 생성을 했다.
## 사이트맵, RSS 등록
위 네이버에서 했었던 사이트맵과 RSS등록을 구글에서도 할 것이다. 방법도 거의 같다.
왼쪽 메뉴 색인생성 -> Sitemaps 으로 이동하면
아래와 같은 화면이 뜰 것인데
네이버에서 했던것처럼 sitemap과 rss를 추가해주자.
더 편하다. 뒷부분만 추가하면 된다.
각각/sitemap 입력 후 제출 클릭
/rss 입력 후 제출 클릭
하면 아래에 제출된 사이트맵이 추가 될텐데,
지금 스크린샷은 제출 요청하고 상태가 완료된 스크린샷이고 처음 하는 사람들은 상태값이 다를 수 있다.## 페이지 색인 요청
이제 네이버에서 했던것과 마찬가지로 페이지를 수동으로 알려주는 작업을 할 것이다.
상단에 검색창이 있을 것이다.
그곳에 자신이 노출시키고 싶은 글의 URL을 입력해보자.
이런 화면이 뜰 것이고, 오른쪽에 색인 생성 요청을 눌러서 구글에서도 페이지 수동 등록을 진행하고 기다리면 된다.
그리고 기다렸다가(2~3시간?)
해당 서치 콘솔에서 URL을 입력했을때 아래와 같이 성공하면 끝!
구글 서치 콘솔 색인 완료 모두 검색결과로 스트레스 받지 않길!
# 참조
'블로그 도전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티스토리 한 달 운영해보았습니다. (0) 2024.06.07 티스토리 블로그를 노출 시켜보자 - : GA 연동 잘 안되는 사람? (0) 2024.05.09 블로그 도전기 (0) 2024.05.06